좌충우돌 워드프레스 사용기

오라클 클라우드(OCI)에 가상 머신 생성하여 접속해 보기

싸이토 2025. 2. 4. 18:05

가장 저렴하게 워드프레스(Wordpress) 기반의 블로그를 구현해 볼 수 있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

 

물론 개인 PC에서 VMware와 같은 가상 머신을 구동하여 WP를 설치하고 테스트 해 볼 수도 있겠으나 실제 블로그 서비스를 웹에서 기동하고 실제 포스팅을 하기 위해서는 SaaS 서비스를 이용하든 WP용 자체 서버를 마련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저것 고민 끝에 오라클 클라우드(OCI)를 선택해 보았다. OCI는 Free Tier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사양에 있어서는 개인적으로 크게 만족할 수는 없으나 일부 서버를 무료로 운영해 볼 수 있어, WP용으로 첫발을 떼는 데는 충분할 것이라 판단였다. 

 

이 포스팅에서는 OCI에서 가상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머신에 나의  PC에서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참고로 OCI는 상시 무료(Always Free)로 기간 제한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무료 체험(Free Trial)으로 일정 크레딧을 제공하여 제한된 기간동안 유료 서비스를 체험해 볼 수 도 있다.

 

조사한 바로는 상시 무료(Always Free) 서비스는 아래와 같은 리소스 들이 포함되니 참고하고 사용할 수 있길 바란다.

  • 컴퓨트(Compute): VM.M.Standard.E2.1.Micro 인스턴스 2개
  • 블록 볼륨(Block Volume): 총 200GB
  • 객체 스토리지(Object Storage): 총 10GB
  • 자율운영 데이터베이스(Autonomous Database): 2개, 각 20GB
  • 로드 밸런서(Load Balancer): 1개, 10Mbps
  • 아웃바운드 데이터 전송(Outbound Data Transfer): 월 10TB

 

인스턴스 생성

 

OCI에 가입 후 관리 콘솔에 접속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해 보자.

인스턴스 생성 메뉴를 클릭하니 기본으로 상시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인스턴스가 기본으로 선택이 된다. 부트 볼륨으로 비용이 생성되는 것으로 예상 비용이 표시되나 이 역시 상시 무료 옵션에서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컴퓨트 인스턴스 생성

 

고민 없이 기본 값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되 향후 SSH 접속을 위해 프라이빗 키는 미리 저장해 두도록 하자. 물론 인스턴스 생성 이후에도 키 값은 다운로드 가능하며, 키의 변경, 삭제 등 관리 작업은 가능하다.

SSH 접속용 키 생성 및 저장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인스턴스 프로비저닝 시간을 거친 후 아래와 같이 인스턴스가 생성된다.

생성된 인스턴스

 

인스턴스 이름을 클릭하여 '인스턴스 세부 정보'에서 확인해 보면 부트 볼륨도 역시 상시 무료 플랜이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트 볼륨도 무료

 

 

생성한 가상머신에 콘솔로 접속하기

무료 인스턴스 생성은 이렇게 아주 쉽게 생성할 수 있다. 이제 이 생성한 가상 머신에 접속해 보자.

 

머신 생성이야 이전에서도 VMware나 Hyper-V에서 많이 했어서 그리 낯설지가 않았는데, OCI에서 생성한 머신에는 접속하는 것은 다른 문제였다. OCI에 대한 기본 지식 없다 보니 단순히 접속하는 것에도 알아야 할 정보들이 많았다.

 

생성한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여기 저기 찾아보다가 알게 된 몇가지 정보를 먼저 아래에 정리해 본다.

 

  • 기본값 설치된 Oracle Linux (버전8) 기본 계정은 opc
  • root 계정 직접 로그인은 차단됨 (이건 최근 여타 Linux과 동일)
  • Oracle Cloud 인스턴스는 보안상 기본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접속 시 SSH 키를 사용함 (추후 비밀번호로 접속을 해야할 경우 추가 설정 적용해야 함)
  • 콘솔에서 다운받은 프라이빗키는 .key 형식으로 PuTTY에서 사용하려면 .ppk 형식으로 변환해야함 (PuTTYgen 활용)

아는 사람들에게는 아무 정보도 아니겠지만, 아무 지식 없이 바로 접근 하다 보니 이른 기본적인 정보들을 찾는데도 그리 친절하지 않았다. 

 

그럼 이제 접속 해 보자. 간단하게 스크린 샷을 공유하여 접속을 위해 내가 어떻게 하였는지를 설명한다.

 

먼저 다운받은 접속용 프라이빗 키(.key) 파일을 PuTTY 용으로 변환해 보자. 참고로 나는 콘솔 접속 프로그램을 PuTTY계열인 KiTTY를 사용한다.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간단하게 이용기 편하다. 다른 접속 프로그램과 사용법이 거의 동일 하므로 참고하면 될것 같다.

 

프라이빗키 변환

 

PuTTYgen 프로그램에서 Load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받은 키파일(.key)을 선택하자. 파일이 보이지 않을 경우 모든  파일 보기 모드로 변경하자. ppk 파일은 PuTTY에서 사용하는 기본 키파일이 아니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형식으로 번환해야 한다는 경고가 뜨는 것을 알 수 있다.  Save private key 버튼을 클릭하여 변환된 개인키를 저장한다. 이때 보안성을 더 높이기 위해서 Key passphrase를 입력하여 설정하고 잊지 않도록 주의하자.

개인키 변화 및 저장

 

인스턴스의 퍼블릭 IP를 확인하고 변환한 키 파일을 준비하여 실제 생성한 인스턴스에 접속해 보자.

KiTTY 프로그램 Session 메뉴에서 내 인스턴스의 IP를 입력하고, Connection > SSH > Auth 에서 변환한 키를 로드한 후 Start 버튼을 눌러 접속한다. 이 정보는 이후에도 활용해야 하므로 나중을 위해 Save 버튼을 눌러 이 세션을 저장하여 두는 것을 추천한다.

IP 주소 입력

 

접속 키 선택

 

아래와 같이 서버에 내 OCI 가상 서버에 접속이 되었고, 기본계정 opc, Key Pass phrase를 입력하고 'sudo su -' 명령을 입력하여 관리자 권한을 부여 받는다.

내 인스턴스에 접속

 

이렇게 나의 오라클 서버에 접속하였다. 사실 접속 방법이야 이렇게 간단하다. 다만 나의 경우는 별 지식 없이 정보의 바다 속에서 꼭 필요한 정보를 찾아 헤메다 여기까지 오는데는 시간이 좀 걸렸을 뿐이다. 혹시 누군가에게 이 정보가 유용할 수 있기를 바라며 내가 거쳤던 시행착오를 그들은 거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다.

 

이제 WP도 설치하고 공부도 해봐야 겠다.

 

 

싸이토